유럽에 첫 번째 코로나 봉쇄령이 떨어졌을 때, 독일 마트에서는 화장지가 동이 났고 프랑스에서는 와인과 콘돔이 불티나게 팔렸단다. (프랑스 답기도 하지!)
나는 아직도 당시 상황을 생생하게 기억한다. 길이가 6m는 족히 될 듯한 대형마트 카우프란트(Kaufland)의 화장지 코너가 텅 비어있던 그 장면 말이다. 나는 아무 상품도 없는 매대를 보고 화장지 코너가 자리를 옮겼나 싶어 그 주변을 몇 번을 돌고 돌다가, 텅 빈 매대 위 덩그러니 걸려있는 ‘화장지’ 팻말을 보고서야, 아, 다 팔렸구나! 하고 탄식했다.
프랑스에서 와인 소믈리에를 업으로 살고 있는 한국 언니는 봉쇄령을 앞두고 와인샵에 갔다가 상점 밖까지 길게 늘어서 있는 줄을 보고 기겁했다고 한다.
독일의 ‘화장지 사태’는 그 심각함이 여느 코믹물 못지않았으니, 같은 빌라에 사는 우리 독일 이웃들은 급기야 ‘화장지 판매 첩보’를 주고받기 시작했다. 그 첩보 내용은 대략 이러하다.
‘저기 로바흐 시청사(Rohrbach Markt) 옆에 있는 페니(Penny, 독일 마트 체인점)에 화장지가 들어왔대!’
‘몇 시에? 지금 가도 있을까?’
‘2시 즘에 갔을 때 있었다고 이 아무개가 그랬으니까, 아직 있을 거야, 어서 가봐!’
혹자는 프랑스에서 봉쇄령을 앞두고 와인과 콘돔이 쌍으로 불티나게 팔린다는 소식에 이렇게 말했다.
“출산율 엄청 오르겠는데?”
그럴듯한 추측이다.
그러자 다른 이가 말했다.
“아니, 집에 꼼짝없이 갇혀있으니 이혼율이 오를걸”
듣고 보니 이 또한 그럴듯하다.
그래서 무슨 일이 일어났을까? 출산율은 내년에나 가 봐야 알 수 있을 테고, 그것보다는 이혼에 관한 수치가 먼저 나왔다. 안타깝게도 후자의 예상이 맞아떨어졌으니, 독일의 이혼율이 부쩍 오른 것이다.
좀 더 정확히 말하자면, 이미 올랐다기보다는 다음번 집계에서 상당한 증가폭을 보일 거라는 전망이다.
그 전망의 배경은 이러하다.
베를린의 설문조사 기관 Civey에서 3월~5월 두 달 동안 ‘이혼 결심 건수’를 조사했더니, 설문 대상자의 2.2%가 ‘이혼 결정’을 가리킨 것이다. 2018년 같은 기간에는 이 수치가 0.42%에 그쳤다고 하니, 최종적으로 이혼 도장을 찍느냐 마느냐를 떠나서 이 기간 동안 사람들의 ‘이혼 의지’가 부쩍 강해진 것만큼은(2018년의 무려 5배) 확실한 것 같다.
독일의 3월과 5월 사이, ‘꼼짝없이 집에 갇혀있을 수밖에 없었던’ 그 상황을 복기해보면, 가게란 가게는 다 문을 닫고, 밖에서든 집 안에서든 두 가족 이상은 모일 수 없었으며, 학교와 유치원도 문을 닫아 아이들은 집에 남게 됐고, 어른들은 재택근무를 하면서 집에 남겨진 아이들까지 돌봐야 했다.
이혼을 결심하게 된 배경은 크게 두 유형으로 나뉜다. 첫 번째는 슈투르트가르트 신문사에서 취재한 한 가정 변호사의 말을 빌려, ‘방울 방울이 모여 결국 그릇이 흘러넘치게 된’ 사례다. 집에 갇혀있다 보니 자주 부딪치게 되고, 그것들이 쌓이고 쌓여 결국 폭발하고 만 것이다. 또 다른 유형은 그 전부터 이혼을 생각하고 있다가 코로나 봉쇄령으로 같이 있는 시간이 길어지자 더는 못 참고 단판을 지어버린 경우다. 어느 사례가 됐든 간에 코로나 봉쇄로 집에서 ‘너무 많은 시간’을 함께 보낸 것이 이혼 결심에 한몫을 한 것이다.
사실 독일에서는 이혼율이 계속 내려가는 추세였다. 코로나가 닥치기 바로 전년도만 해도 하락 추세 속에 25년 이래 최저점(148,066건)을 찍었다고 하니, 코로나 봉쇄령이 커플 관계에 영향이 크긴 컸나 보다.
유럽에서는 얼마 전 두 번째 봉쇄가 시작됐다. 길어지는 제재 속에 봉쇄령 반대 시위가 열렸다는 소식도 간간이 들려온다. 첫 번째 봉쇄령 때 독일 사람들은 화장지와 밀가루를, 프랑스 사람들은 와인과 콘돔을 사다 모으는 걸 보면서, 사재기 종목에서도 국민성이 다 드러나는구나 하며 감탄하던 게 얼마 전인 것 같은데, 그게 벌써 8개월 전이란다.
긴 마라톤에 모두가 지쳐있는 지금, 남아 있는 마라톤 코스만큼은 독일식 전략보다는 프랑스식 전략이 통하지 않을까 조심 스래 생각해본다. 또다시 닥친 봉쇄령 앞에 걱정하고 불안해하기보다는, 그 시간을 즐겁고 유익하게 보낼 수 있는 것들로 채우면서 여유를 찾는 전략 말이다.
전례 없는 위기에 처한 지구 상의 모든 커플들에게 지혜로운 타개점이 찾아지기를 희망하며, 봉쇄령 속 집구석에서 이 글을 마친다.
대부분의 역병이 그러했듯이 코로나19도 사회적 변화의 분기점이 되고 있네요. 국가적 위상부터 구성원의 의식이나 대응방안도 미처 몰랐던 속살들을 드러간다더니… 와인과 화장지 사이의 간극이 시사하는 바가 크네요. 잘 읽었습니다.
좋아요Liked by 1명
대부분의 역병이 그러했듯이 코로나19도 사회적 변화의 분기점이 되고 있네요. 국가적 위상부터 구성원의 의식이나 대응방안도 미처 몰랐던 속살들을 드러간다더니… 와인과 화장지 사이의 간극이 시사하는 바가 크네요. 잘 읽었습니다.
좋아요Liked by 2 people
코로나에 대응하는 각 나라 사람들의 성향고 방식이 이채롭네요~그러고 보면 우리나라 사람들, 빨리 빨리 외치면서도 문제는 빨리 대처했지만 꽤 여유롭고 안정되게 넘기고 있는것이죠? 위기에 강한민족 같아요~
생생하게 살아있는 현장 이야기 재밌게 잘 읽고 있어요~
좋아요Liked by 2 people